T5 SMD Pick & Place System 장비는 15년 이상 판매한 V3 장비를 시대 변화에 효율적으로 SMD Device 실장 작업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발된 신개념의 SMD Pick & Place 장비이다.
T5 장비는 Lab. small Volume SMD 부품 조립을 위하여 개발된 장비이다. 소형 장비로 Auto nozzle 자동 교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빠른 속도 실장을 위하여 Fly Vision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10mm 이하의 부품은 under Vision 인식을 하지 않고 Head에 부착된 Vision Camera 가 이동 중 자동으로 부품 보정을 하므로 작업 단축을 한다.
Feeders bank 기본 28개 제공과 기본 58개 Feeders bank. Auto Nozzle 기능의 2가지 제품 있다. 장비 내 vacuum Generator 내장으로 별도의 필요하지 않다. 진동 feeder는 기본 제공되어 SOP IC 실장 작업 가능하다.
적용 공정 ; Lab. Prototype for SMD Assembly 작업공정. 학교. 산학연센터, 소량 다품종 공정. 등
Feeders 구성
8mm. 12mm. 16mm. 24mm tape Feeder는 고객이 장비 주문 전에 선택 하여야 한다. 기본 29개 tape Feeder는 기본으로 제공한다. 이 29개 공간에 12mm. 16mm. 24mm 분활 구성 할 수 있다 3D Fly Vision의 SMD Pick & Place System for Lab. Prototype 장비 T5에 대한 자료 내용입니다.
그간의 Lab. Prototype SMD Assembly 장비의 상상보다 더 기술 향상된 장비를 경험하시라 생각합니다. 어떠한 환경에서 프로그램 작성. 호환 가능하며, Auto Nozzle 변환 기능. 3D Fly Vision 기술을 Lab 소형 장비에 기술을 접목 시키였습니다.
가격 또한 만족한 가성비에 대한 기쁨을 같으리라 생각합니다. Feeder bank 28. 59개 제공. 기본 진동 Feeders 제공으로 사용자 부품 작업에 따라 tape feeder 선택하면 된다. SMD 실장 장비를 가장 경제적인 가격에 보다 정밀한 실장 작업을 T5. T5+ 장비가 대신하여 드립니다.
남아전자산업은 30년 이상 SMD 실장 장비를 판매하여 왔습니다. 그간의 장비의 기능 및 불만족 내용을 모아 새로운 기술방식으로 장비를 공급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장비 SPEC
성능 향상을 위하여 예고 없이 디자인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글 운영 글자 지원 2022. 6월 출시 제품.
그간의 V3 장비의 단점을 보완하여 쉽게 사용하는 기능으로 프로그램 개선하였다. 보다 정밀도 높이기 위하여 Fly Vision 향상시키었다. Off line Program 작업 가능하여 새로운 프로램 Edit 하는 동안 실장 시간을 방해되지 않는다.
Touch LCD Panel에서 장비 제어를 하며 별도 HDMI 사용하여 외부 모니터 사용 가능하다. 진동 Feeders. Under Vision camera 기능이 기본 제공되며, Auto Nozzle Changer 기능은 T5+에 적용된다,
T5+는 58 ea Tape Feeder bank (8mm) 기본 제공된다.
PLCC 100 Device 비젼인식 보다 정확성 향상 및 부품 문제 사전 확인 가능.
Tape Feeder
T5 SMT 장비는 28개 8mm 기준 장착할 수 있으며 T5+는 58개 Feeder 장착 가능하다. 16mm Feeder 사용을 하면 8mm 2개의 공간을 사용한다.
Short tape Feeder
'T5. SMD 자동 실장 for Lab .etc > T5. Spe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D 실장 장비 for Lab (0) | 2023.06.28 |
---|---|
T5. SMD 실장 자료 및 동영상 (0) | 2022.04.11 |
탁상형 SMT 마운터 MV3G. 동영상. 2천만원 가격 (0) | 2018.01.03 |
탁상용 SMT 마운터 15P 동영상 (0) | 2016.10.02 |
Manual Stencil Printer 수동 프린터 110 (0) | 2015.10.29 |